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세종시, 부강면 일대 독립운동 거점 유적지화 논의 첫발

기사승인 2024.06.28  10:28:12

공유
default_news_ad2

27일 세종시 독립운동 근거지 재조명 포럼…후손 증언·학술발표

대한황실 항일독립운동연구회 발족…역사공원 조성 협력 약속도

[세종인뉴스 차수현 기자] 대한황실의 독립운동 근거지로 조명된 세종시 부강면 일대를 국가 유적지로 만들기 위한 논의가 첫발을 뗐다.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와 대한황실후손단체 의친왕기념사업회(회장 이준)는 27일 시청 여민실에서 ‘세종시 독립운동 근거지 재조명을 위한 포럼’을 열었다.

이날 포럼은 대한황실 후손의 증언과 학자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독립운동 근거지로서 세종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아직 드러나지 못한 독립운동 사료 수집과 학술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이날 ‘세종시와 대한황실 항일독립운동연구회’를 발족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 역사 발굴·선양, 세종시 일대 역사공원 유적지 조성에 협력하기로 했다.

포럼 1부 ‘시대의 증언’에서는 고종황제의 증손이자 의친왕기념사업회 이준 회장이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섰다.

이준 회장은 ‘대한황실 독립운동의 중심 사동궁과 의친왕의 항일운동’을 주제로 의친왕의 사저인 사동궁을 중심으로 한 대한황실 차원의 항일독립운동을 증언했다.

이준 회장은 “황실 소유의 금광을 궁내부 특진관 송암 김재식에게 맡기고 관리한 곳이 현 세종시 부강면 용포리”라며 “금광 수익은 부강포구를 통해 전국에 독립자금으로 전달됐다”고 말했다.

당시 일제의 감시를 피해 진행된 독립운동의 특성상 관련 사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증빙이 쉽지 않지만, 후손의 증언과 연구를 통해 입증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특히 세종시 부강면에 있는 송암 김재식 가옥(세종시 유형문화재)에 의친왕 친필 편액 송암신정기(원모정)가 있고, 송암의 비석에 의친왕이 친필로 지은 제문이 있는 것도 항일독립운동에 힘쓴 의친왕과의 관계를 증명하는 간접적 증거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어 유진 벨 선교사의 외증손이자 윌리엄 린튼의 손자 인요한 국회의원이 영상을 통해 ‘외국인 선교사의 시선에서 바라본 개혁군주 고종황제 재조명’을 발표했다.

운현궁 흥선대원군의 후손인 이영주 의친왕기념사업회 사무총장도 세종, 충남지역에서 이호석의 항일운동을 증언했다.

2부 학술발표는 민경찬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의 ‘애국가의 나라-대한제국’, 서영희 한국공학대학교 교수의 ‘1919년 대동단 의친왕 상해임시정부 망명 사건의 의미와 한국의 공화주의 수용’이 소개됐다.

마지막 발표자인 이태진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는 ‘의친왕 이강과 송암 김재식의 유대 관계 추적’을 주제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태진 교수는 세종시 등록문화유산 김재식 가옥의 주인 송암 김재식 선생의 제국익문사 활동을 통한 황실의 항일활동의 연관성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제국익문사는 1902년 고종이 대한제국 정부를 상대로 한 일본 측의 극심한 정탐 행위에 대응해 비밀리에 세운 직속 정보기관이다.

이 교수는 의친왕이 송암 김재식을 위해 쓴 ‘송암신정기’ 소개 부분에 ‘문의군 부강면에 제국익문사 요원들과 금광을 기반으로 독립자금을 마련한 김재식’이라는 소개문에 주목했다.

이는 곧 황실 재산 관리 총책 내장원경을 역임한 김재식이 ‘제국익문사’ 국내 활동의 자금 확보를 위해 금광 개발에 나섰다는 뜻이라며 의친왕과의 관계를 조명한 것이다.

이 교수는 의친왕이 1905년 2월 황실 재산 관리 총책인 내장원경 역임의 부강면 거주 김재식과 금광 개발에 나선 것은 제국익문사의 활동자금 확보와 유관할 것으로 파악했다.

학술발표 후에는 종합토론과 질의응답 시간이 마련돼 이날 발표와 증언에 대한 참석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들었다.

최민호 시장은 “김재식 고택의 행랑채에 제국익문사를 두고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한 주장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그 역사적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역사적 사실 규명 논의가 활발해지고 이를 바탕으로 부강면 일대를 국가유적지화 라는 가시적인 성과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차수현 기자 chaphung@naver.com

<저작권자 © 세종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많이 본 뉴스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